카테고리 없음

시를 찾아가는 아홉 갈래 길

墨香 金載基 2016. 7. 22. 12:55

#시를찾아가는아홉갈래길(비렴)

 

시를 찾아가는 아홉 갈래 길 (2) / 최영철(시인)

 

남과 다른 글쓰기

 

 

문학지망생들을 만나면 예외없이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습니다. 기성문인들은 뭔가 자기 나름대로 글을 잘 쓰는 비법이 있다고 여기는 모양입니다. 글 쓰는 일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막연한 작업이기는 하지만 거기에 비법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세상 모든 일처럼 정도가 있을 뿐이지요.

 

그 정도라는 것은 여러분도 다 알다시피 읽고 생각하고 쓰는 것입니다. 사람에 따라 그런 과정에서 자신만의 내밀한 요령을 터득하는 수도 있지만 그것은 아주 미세한 경험과 깨달음들의 결과이기 때문에 남에게 뭐라고 설명할 수 있는 성질이 못됩니다.

 

대학마다 문학에 관한 전공학과가 설치되어 있고 시중에는 많은 문예창작 지침서들이 나와 있지만 그런 것들이 정작 자기 글을 쓰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글쓰기는 정해진 공식이나 이론에 대입시킨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닙니다. 글쓰기는 자신만의 독특한 시행착오를 통해 얻어지는 필연과 우연의 만남입니다. 여기에 글쓰기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에는 그저 우직하게 우리가 다 알고 있는 3多의 과정을 좇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쓸 수 있는가’하는 문학지망생들의 질문이 ‘어떻게 하면 글을 남과 다르게 쓸 수 있는가’ 하는 질문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하나 들겠습니다. 봄이 오면 산과 들에 온갖 꽃들이 피어납니다. 아름답습니다. 그 꽃을 보고 글을 쓴다고 합시다. 여러분 중의 대부분은 꽃의 아름다움에 감탄하여 그 아름다움을 글로 표현하고 싶어 할 것입니다.

 

그러나 꽃의 아름다움은 문학이라는 형식이 존재하고부터 수많은 문장가들이 온갖 미사여구로 찬탄한 것이어서 여간해서는 그 수준을 뛰어넘을 수 없을 것입니다. 또 꽃이 아름답다는 발견은 이미 일반화된 사실이어서 새롭지도 않습니다. 다른 이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바른 방식으로 쓰는 것이 관건이 되는 것입니다. ‘꽃이 기지개를 켠다’든지 ‘꽃이 하늘로 가고 있다’든지……

 

이렇게 남과 다르게 쓰려면 남과 다르게 볼 줄 알아야 하는데 그것이 어렵지 않느냐고 물으실 것입니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일도 아닙니다. 글쓰기가 단순히 좋은 말로 매끈한 문장을 만드는 일이 아니라는 것만 깨달으시면 가능합니다. 처음에는 어색하겠지만 세계를 보는 자기 시각을 가지려고 노력해 보십시오.

 

남과 다르게 본다는 것은 남과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여러분은 남과 다르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다른 정도가 남과 비교해 판이하게 다를 때도 있고 거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만큼 미세할 때도 있지만 분명 여러분은 이 지구상의 모든 인간들과 비교해 다릅니다.

 

이 세상에 똑같은 사람은 한 명도 없습니다. 아무리 닮은 일란성 쌍둥이라도 다른 부분이 있기 마련이지요. 생김새도 그렇지만 생각이 각기 다른 것은 성장한 환경과 그동안의 체험이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삶의 과정에서 생성된 이런 독특한 체험들을 우리가 쓰려고 하는 대상에 투영하면 그것만으로도 이미 자신만의 글, 남과 다른 글쓰기가 가능해 집니다. 자신이 어떤 체험공간을 가지고 있느냐를 잘 판별해서 자신이 쓰고자 하는 글에 적극적으로 반영해보도록 하십시오. 그것이 또 하나의 절대적 가치를 지닌 새로운 시인의 요건입니다.

 

옮겨온 글